Kubernetes

쿠버네티스 CKA 자격증 시험 후기

쿠버네티스 공부한 증거를 남기고자 자격증 시험을 봤습니다.

일적으로 쿠버네티스 공부가 필요했고, 처음에 kubernetes In Action 책을 정독하고 인터넷에 떠도는 기출문제 위주로 준비 했습니다. 다른 분들은 보통 udemy라는 사이트에서 쿠버네티스 cka자격증 강의를 많이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특히 모의고사는 실제 시험이랑 비슷한 수준의 문제를 출제한다고 하네요. 

 

* 9월부터 개편된 문제로 CKA 테스트가 진행됩니다. 난이도는 이전과 비슷할거라 생각되는데 일단 제가 시험볼 때 나왔던 문제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2020.08.24일에 시험을 봤습니다)

 

 

1) 문제 출제 유형

 리소스 조회 , 리소스 생성 , 스케줄 , 트러블슈팅 , 클러스터 구축

 

 

2) 유용한 사이트

- 시험 환경 설명

https://www.youtube.com/watch?v=B2KkkYiZPEk

- 시험 문제 참고 사이트

https://github.com/ok-cp/CKA-Practice

 

 

3) 시험에 나왔던 문제 유형

1.  문제가 발생한 파드의 로그를 조회하고, 검색한 로그를 특정 경로에 저장.

2. 1개 파드에 멀티 컨테이너를 생성하시오. initcontainer를 생성해 emptyDir 볼륨을 마운트 한 뒤 ‘flle.txt’ 생성합니다. 파일이 생성된 해당 볼륨을 다시 일반 컨테이너에 마운트

3. 하나의 서비스를 주고 해당 서비스가 연결하는 pod 리스트를 출력

4. deployment 리소스 생성

5. deployment 리소스를 scale -> 컨테이너 이미지 업데이트 -> 다시 이전 revision으로 rollout

6. 특정 워커노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만들고, 노드에서 실행중인 파드를 다른 노드로 스케줄

7. 네임스페이스를 적용한 파드 생성

8. schedule이 가능한 노드 리스트 작성

9. 주어진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해 출력되는 pod를 이름 기준으로 정렬하여 화면에 출력

10. hostpath persistent volume 생성

11.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

12. kubectl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는 클러스터 복구

13. 파드를 생성하고 NodePort로 서비스 노출

14. daemonset을 생성하되 yaml파일로 저장

15. NotReady 상태인 워커노드 복구

16. 문제가 발생한 스케줄러 복구

17. JsonPath를 활용한 리소스 조회

18. etcd backup

19. static pod 생성

20. secret , configmap 생성 및 마운트 export

  

 

암기 위주가 아닌 이해를 바탕으로 문제의도를 파악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다들 열심히 공부하셔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 추가로 궁금한 점들은 댓글로 남겨주세요.